“네이버 블로그에서 애드포스트로 수익이 조금씩 들어오고 있는데요.
이것도 구글 애드센스처럼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처음 수익이 생겼을 땐 신기하고 좋지만,
이게 세금 신고 대상인지 아닌지,
신고 안 해도 되는 경우가 있는지 헷갈리는 분들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도 세금 신고 대상입니다.
다만 경우에 따라 기타소득으로 신고되는 경우도 있고, 사업소득으로 봐야 할 때도 있어요.
애드포스트 수익도 '소득'입니다
애드포스트는 네이버에서 블로그에 광고를 붙여주는 서비스인데요,
그 광고를 통해 클릭이 발생하면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예요.
즉, 내가 글을 올리고 광고가 노출돼 돈이 들어오는 거니까
이건 분명히 국세청 입장에서 '소득'으로 보는 게 맞습니다.
“수익이 적으니까 괜찮겠지” 싶은 마음은 이해되지만,
요즘은 네이버에서 지급한 내역이 국세청으로 자동 보고되기 때문에
신고 안 하고 넘기면 나중에 추징될 수도 있어요.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어떤 차이인가요?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은 상황에 따라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나뉠 수 있어요.
▷ 기타소득으로 처리되는 경우
- 네이버 측에서 3.3% 세금 원천징수 후 지급
- 일시적 또는 소규모 수익일 경우
- 연간 총 지급액이 300만 원 이하일 경우,
→ 종합소득세 신고를 안 해도 되는 예외가 발생할 수 있어요
단, 이건 네이버가 지급명세서를 국세청에 제출하고,
경비율 적용 동의까지 완료된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 사업소득으로 봐야 하는 경우
- 수익이 반복적,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구조
- 블로그를 꾸준히 운영하고, 수익도 늘어나고 있음
→ 이럴 경우엔 개인사업자로 보고 사업소득으로 신고해야 합니다
애드포스트 수익이 매달 정산되고 있고,
블로그가 단순한 취미 수준을 넘어섰다면
국세청 입장에선 ‘업무적 소득’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고 안 해도 되는 경우가 있을까요?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생략할 수 있어요.
애드포스트 수익이 연 300만 원 이하
네이버가 3.3% 원천징수 후 지급
경비율 적용 동의서 제출된 상태
기타소득으로 이미 국세청에 보고됨
하지만 이 조건 중 하나라도 빠지면 반드시 신고 대상이 됩니다.
또한, 수익이 적어도 다른 수입과 합쳐서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세요.
마무리하며
정리해보면요,
-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도 세금 신고 대상입니다
- 수익 규모와 형태에 따라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나뉘어요
- 300만 원 이하 + 원천징수 + 경비율 동의된 경우엔 신고 생략 가능
- 하지만 정기적인 수익 구조라면 사업소득으로 보고 신고해야 안전
- 신고 안 하면 가산세, 소득 누락 문제 생길 수 있음
수익이 작더라도 꾸준히 발생하면 미리 세금 구조를 알고 준비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래야 추후 수익이 커져도 당황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어요.
'용어 공부 > 세금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사업자 세금, 어떻게 나눠 내나요? (0) | 2025.04.12 |
---|---|
간주임대료 계산 어떻게 하나요? 상가 보증금에 붙는 세금 쉽게 정리했습니다 (0) | 2025.04.12 |
납세자보호위원회란? 세금 문제를 공정하게 해결하는 방법 (0) | 2025.04.12 |
부동산 법인 만들면 줄어드는 세금, 늘어나는 세금 (0) | 2025.04.11 |
크리에이터 수익에서 3.3% 세금 뗐는데 신고 또 해야 하나요? (0) | 2025.04.10 |
부가세 면세사업자도 종합소득세 내야 할까요? (0) | 2025.04.10 |
다운계약서 썼던 집 팔면 생기는 세금 폭탄, 미리 알고 대비하세요 (0) | 2025.04.09 |
부동산 법인으로 하면 세금이 더 적을까? (0) | 2025.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