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수익이 어느 정도 생기게 되면 세금에 대한 생각이 언제나 떠오릅니다.
세금에 대한 공부는 뭔가 꺼려지는 게 사실이지만 어차피 해야 한다면 그냥 생각 없이 해야 할 것 같아요.
오늘은 그전에 먼저 미국세금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는것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간단하게 생각해 본다면 저희가 애드센스로 수익을 얻으면 USD로 수익금이 생기게 되는데, 우리나라도 세금이 참 많은데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여담이지만 저희나라가 세금을 적게 내는 부분도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ex) 국민연금
중요한 것은 세금을 뗀다는 것, 세금은 알면 돈이 된다는 것.
미국세금정보 미등록 -> 24% 원천징수
미국세금정보 등록 -> 미국에서 발생한 수익에 30% 원천징수
그냥 바로 해야 할 것 같아요. 어차피 맞는 말이기도 하고요.
먼저 본인 보고서에서 수익이 어디서 발생하는지 확인하셔야죠?
제 이전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애드센스 미국세금 정보 등록하는 방법
애드센스에 접속합니다.
지급-결제 정보(1) -> 설정 관리(2) -> 아래쪽 미국 세금 정보에 연필표시를 눌러줍니다.
계좌 유형 개인 -> 미국 시민 아니요 -> W-8 BEN(미국 외 국가 개인) 선택을 해줍니다.
개인 이름(영문) 작성 후 대한민국을 선택해 줍니다.
아래 외국인 TIN은 사업자에 해당합니다.
저희는 개인이니까 개인 기준으로 해볼게요.
동일함을 체크해 주시고 나머지 입력 후 상세 주소는 꼭 영문으로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개인기준으로 아니오 이고 사업자시면 예입니다.
체크를 해주고 사인을 해줍니다.
저는 아니 오를 클릭 했는데 미국인에 의한 수익 아마 유튜브면 어떠한 주재냐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음식이나 한국 아이돌은 외국인도 많이 들어오기에 예를 클릭하는 게 맞을 것 같네요.
저는 전혀 없기에 아니 오를 클릭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기존 프로필로 확인.
우편은 굳이 받지 않는 걸 권장합니다.
승인이 되었네요.
아래에 원천징수세율 30%라고 되어 있는 것은 미국에서 벌어들인 수익금에 따른 징수세액입니다.
완료가 되었네요.
하지만 중요한 것은 실제로 돈이 찍히는것 이게 중요한것 같아요.
기존의 세팅은 전부 끝내두었으니 이제 좋은 콘텐츠를 계속 지속할 일만 남았네요.
수고하셨습니다 :D
'소소한 블로그 운영 방법 > 애드센스 기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개인 정보 등록, 주소 정보 등록, 결제 수단 등록 방법 (5) | 2023.01.20 |
---|---|
애드센스 광고 단가(CPC) 올리는 방법 (3) | 2023.01.19 |
애드센스 보고서 세팅 방법 추천 및 광고 용어 정의 (0) | 2023.01.18 |
애드센스 쓸모없는 광고 제거하는 방법 및 광고 최적화 하는 방법 (1) | 2023.01.15 |
애드센스 광고 위치 별 수익 및 세팅 방법 (1) | 2023.01.13 |
애드센스 광고 종류 및 적용 방법 (0) | 2023.01.11 |
애드센스 티스토리 연동하는 방법 (0) | 2023.01.10 |
애드센스 승인 받는 방법 (1) | 2023.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