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법인을 운영하다 보면 바쁜 일정에 치여서
법인세 신고기한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신고 하루 이틀 늦었는데 큰일 나나요?”
“지금이라도 내면 괜찮은가요?”
“어떤 불이익이 생기고, 가산세는 얼마나 붙는 거죠?”
이번 글에서는
법인세 신고·납부가 늦었을 때 생기는 불이익,
그리고 늦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조금이라도 가산세를 줄일 수 있는지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정리해드릴게요.
법인세는 신고와 납부, 둘 다 제때 해야 합니다
법인세는 매년 정기신고 기한이 정해져 있습니다.
보통 12월 결산 법인은 3월 31일까지가 신고 및 납부 기한이죠.
여기서 중요한 건
- 신고만 하고 세금 안 낸 경우,
- 세금은 냈는데 신고를 안 한 경우,
둘 다 가산세가 부과된다는 점입니다.
즉, “하나는 했으니까 괜찮겠지”는 통하지 않는다는 거죠.
신고기한 넘기면 생기는 대표적인 불이익
1. 무신고 가산세
- 법인세 자체를 신고하지 않았을 경우
- 산출세액의 20%까지 추가로 부과됩니다
- 조세포탈로 의심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특히 주의하셔야 해요
2. 과소신고 가산세
- 신고는 했지만 세액을 적게 신고한 경우
- 차액의 10~20%를 가산세로 내야 합니다
- 일부러 축소 신고한 게 아니라 실수여도 가산세는 붙습니다
3. 납부불성실 가산세
- 신고는 했는데 세금을 제때 안 낸 경우
- 납부 지연 기간 동안 하루 단위로 이자 형태의 가산세가 붙습니다
- 장기 체납 시에는 체납세액의 3% 이상까지도 붙을 수 있어요
신고 안 했을 때 꼭 해야 할 것들
신고기한을 놓치셨다면, 최대한 빨리 아래 조치를 취하셔야 합니다.
1. 지금이라도 신고부터 하세요
- 무신고 상태를 계속 두면 가산세가 눈덩이처럼 불어납니다
- 홈택스나 세무사를 통해 즉시 신고부터 진행하세요
2. 자진신고 감면 제도 활용
- 기한은 지났지만 자진해서 신고하면 일부 가산세 감면 가능성도 있습니다
- 특히 처음 법인세를 놓친 경우, 경감 사유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있어요
3. 분할 납부 신청 고려
- 한 번에 세금 내기 어려울 경우 분할 납부 신청도 가능합니다
- 최대 2개월까지 나눠서 낼 수 있으니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실무에서 자주 나오는 질문들
Q. 신고 하루만 늦어도 가산세 붙나요?
→ 네, 기준일 기준으로 하루만 지나도 무신고 가산세가 적용됩니다.
하지만 조기 자진신고하면 일부 감경 가능합니다.
Q. 무신고인데 그냥 안 내고 넘어가도 되나요?
→ 절대 안 됩니다. 국세청은 신고하지 않은 법인도 거래자료나 계좌 추적을 통해
과세자료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세무조사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어요.
Q. 납부만 늦었는데, 얼마까지 불이익이 생기나요?
→ 하루 이자율로 계산되며, 체납일수에 따라 금액이 불어납니다.
가급적 빨리 납부하는 게 이득입니다.
간단 정리
- 법인세 신고·납부 기한(대부분 3월 31일)을 넘기면 가산세 발생
- 무신고, 과소신고, 납부불성실 등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가산세가 붙습니다
- 신고를 놓쳤다면 최대한 빨리 자진신고 및 납부 진행이 중요합니다
- 자진신고 시 일부 가산세 감면 가능, 납부는 분할 납부 신청도 가능
- 신고 누락이 계속되면 세무조사 대상이 될 위험도 있습니다
반응형
'용어 공부 > 세금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거주자 부동산 임대소득·양도소득, 세금 어떻게 내나요? 한국 부동산 가진 분들이 꼭 알아야 할 기준 정리 (1) | 2025.04.29 |
---|---|
종교인 소득세, 과세 대상과 비과세 소득 쉽게 정리 (0) | 2025.04.29 |
증여세 신고, 안 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가산세와 세무조사 위험 (0) | 2025.04.28 |
형제자매끼리 돈 주면 세금 낼 수도 있어요? 증여세 기준 확인하세요 (0) | 2025.04.28 |
프리랜서나 사업자도 비과세소득이 있나요? 놓치기 쉬운 항목 정리 (0) | 2025.04.28 |
체납세금 관련 사기 주의! 세금 문제 해결을 빙자한 사기 수법과 예방법 (0) | 2025.04.28 |
비과세소득도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헷갈리는 포인트 정리 (1) | 2025.04.27 |
입주권도 ‘주택’으로 본다, 시점은 관리처분인가일부터 (0) | 2025.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