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세금 용어 정리

종교인 소득세, 과세 대상과 비과세 소득 쉽게 정리

baekyou 2025. 4. 29.
반응형

2018년부터 종교인의 소득에도 세금이 부과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어떤 소득이 세금 대상인지, 어떤 소득은 비과세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교인 소득세는 일반 근로소득과 다르게 적용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종교인 소득세의 과세 대상과 비과세 소득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종교인 소득세란?

종교인 소득세는 종교인이 종교 활동을 통해 얻는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2018년부터 세법이 개정되면서, 종교인의 소득도 일정 기준에 따라 세금을 내야 하는 대상이 됐습니다.

하지만 모든 소득이 과세 대상은 아니며, 비과세 소득도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소득이 과세되고, 어떤 소득은 세금이 면제될까요?


종교인 소득세, 과세 대상은?

종교 활동과 관련된 소득은 기본적으로 과세 대상입니다.
국세청은 종교인의 소득을 **"기타소득"**으로 보고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합니다.

1. 종교인이 받는 기본적인 소득

월급, 사례비, 생활비 등 종교단체에서 지급하는 보수
강연료, 설교 사례비 등 종교 활동을 통해 얻는 추가 수입

예를 들어, 목사, 신부, 스님, 교무, 승려 등 종교인이 종교 활동을 하면서 받는 월급이나 사례비는 과세 대상이 됩니다.


2. 종교 활동 외의 부가적인 소득

종교인이 외부 강연, 방송 출연 등으로 받는 수입
종교 활동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기타 부수입

즉, 종교 활동을 벗어난 소득도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목사가 교회 외부에서 강연을 하고 사례비를 받았다면, 이 소득도 과세 대상입니다.


종교인 소득세, 비과세 소득은?

반대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소득(비과세 소득)**도 있습니다.
비과세 소득은 종교 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지원금이나 교단 운영비 등 개인 소득으로 보기 어려운 항목이 포함됩니다.

1. 종교 활동 관련 필수 경비 지원

종교 활동을 위한 교회·사찰 운영비
종교 의식에 필요한 예배·법회 비용
성직자의 사택 제공 비용

예를 들어, 교회에서 목사의 사택을 제공하는 경우, 이것은 개인 소득이 아니라 종교 활동을 위한 지원이므로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2. 종교단체 내부의 자선적 지원금

종교단체에서 운영하는 장학금, 생활지원금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급되는 후원금, 선교비

예를 들어, 신학생이나 전도사를 위한 장학금은 개인 소득이 아니므로 비과세입니다.
또한, 해외 선교비 지원금이나 교단 내에서 제공하는 후원금도 개인이 자유롭게 사용하는 돈이 아니라면 과세되지 않습니다.


종교인 소득세, 과세와 비과세 기준 정리

월급, 사례비, 강연료 등 종교인이 받는 보수는 과세 대상
외부 활동으로 발생한 추가 소득도 과세 대상
종교 활동을 위한 운영비, 선교비, 사택 제공비는 비과세
장학금, 생활지원금 등 개인 소득으로 보기 어려운 지원금도 비과세

종교인 소득세는 소득의 성격에 따라 과세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과세 대상과 비과세 소득을 잘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교회·사찰 운영비나 선교비처럼 개인이 자유롭게 사용하지 않는 돈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고할 때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