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후를 대비 하는 방법/개인연금 설계3 연금저축 현황 및 시사점 보도자료 분석 (금감원 22.04) 연금저축 현황 및 시사점 보도자료 분석 (금감원 22.04) 2021년 연금저축 현황 및 시사점에 대한 금강원 보도자료를 통해 향후 변경점이나 추세를 한번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료는 금융감독원에서 1년에 한 번씩 보도자료를 배포하는데 저도 매년 쉽게 분석을 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보도자료는 뭔가 어렵게 설명을 해두었어요. 금융 용어도 진입장벽이 있죠. 그리고 전년 대비 몇 % 증가, %P 감소 등등. 이러한 숫자는 여러분의 판단을 흐리게 해주기도 하고, 저도 자주 써먹는데 사실 애매합니다. 그리고 이게 틀린말은 아니거든요. 기준이 없으면 오히려 표현하기 상당히 어렵거든요. 숫자를 넣어서 표현하면 뭔가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편한 것도 있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일부러 어렵게, 일부러 있어보기.. 노후를 대비 하는 방법/개인연금 설계 2023. 3. 22. 연금저축펀드 하는 방법, 연금저축펀드 분석, 연금저축 설계 프로젝트 ---------------------------------------------------------네이버 블로그로 이전 했습니다.https://blog.naver.com/baekyouyou------------------------------------------------------------- 개연연금설계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의 경우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 사실 많지 않습니다.수령 시기를 늦추거나 받는 시기에 대한 자율적인 부분이 있고 나머지는 강제성이 있죠.지역가입자여도 마찬가지 입니다.전략은 임의가입 부분 밖에 없는데 이것도 사실 찾아보면 그렇게 설계를 많이 할 부분은 없습니다. 반면에 오늘 설계할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상당한 설계를 해야 합니다.기준은 주식이라는 점이.. 노후를 대비 하는 방법/개인연금 설계 2023. 3. 16. 개인연금 설계 전 기본 공부 (연금저축펀드를 선택한 이유) 개인연금 설계 전 기본 공부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국민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셨을텐데, 국민연금은 강제성이 있죠? 하지만 다른 연금은 강제성이 없습니다. 자율적인 부분이 큰데 퇴직연금은 회사를 다니면 받기는 받는데 선택권만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 공부할 개인연금은 선택성이나 강제성은 없고 오로지 자율적인 특성이 큽니다. 쉽게 말해 내가 하고 싶으면 하고 하 기 싫으면 안 하면 됩니다. 그러면 이러한 선택을 하게하는 액션이 저희한테 필요충분한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지식 입니다. 개인연금을 들어야 하는가? 본인의 선택 여하에 따라 엄청난 아웃풋을 줄 것이다. 이런 것은 절대 아닙니다. 개인연금 특히, 연금저축에 대한 평가가 너무 후하게 쳐져 있는 것 같습니다. 세액공제를 안 받으면 안 된.. 노후를 대비 하는 방법/개인연금 설계 2023. 3.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