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후를 대비 하는 방법22 연말정산 소득공제 간소화 계산 하는 방법 연말정산은 위부터 아래로 흐름을 따라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소득공제 계산 방법 먼저 총연봉입니다. 세금에 잡히는 모든 금액이 있으실 겁니다. 여기서 비과세를 먼저 빼고 계산을 시작합니다. 총 소득액(비과세 제외) 비과세는 세금이 매겨지지 않는 소득입니다. 예를 들어 급식비가 있겠죠. 그래서 최근 20만 원까지 급식비를 올려줬는데 이게 은근히 쏠쏠합니다. 실업급여도 비과세죠? 그래서 소득에 잡히지 않습니다. 또한 근로장학금이나 보육수당, 육아휴직수당 등이 있습니다. 4개 보험도 비과세 입니다. 애초에 빼지는 않지만 소득공제에 4대 보험을 낸 금액만큼 차감되는 게 이 이유 때문입니다. 그러면 저희는 총 소득액(비과세를 제외한) 금액에서 시작입니다. 바로 고정값이 되는것 입니다. 근로소득공제 .. 노후를 대비 하는 방법/연말정산 분석 2023. 1. 31. 연말정산 뱉어내는 이유 연말정산에 대한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뿌수기로 하죠. 수많은 연말정산 글 중에 제가 경쟁력을 나타낼 수 있을까 고민을 하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저는 역산의 개념을 적용시켜 보도록 할 거고요. 여러분이 궁금한 것과 잘못된 상식을 숫자로 풀어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인적공제 한 명이 추가되면 실제로 세액이 얼마나 주는지 사실 이것도 역산으로 하면 풀이가 가능합니다. 얼마가 나올지 까지 예측이 가능한 고정 값과 그렇지 않은 변수가 존재하니 이를 잘 파악한다면 저의 맥시멈을 계산할 수가 있겠죠. 그리고 사전에 결론부터 말씀드린다면, 세금은 내는 것이 이득이고 카드값은 무조건 많이 쓰는 게 좋은 게 아닙니다. 또한 체크카드를 많이 쓰라는 말도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사실 그렇.. 노후를 대비 하는 방법/연말정산 분석 2023. 1. 3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