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금융 & 경제

퇴직금 계산 방법 총정리! 쉽게 이해하는 공식

baekyou 2025. 2. 12.
반응형

직장을 떠날 때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가 바로 퇴직금입니다.
내 퇴직금은 얼마나 될까?
퇴직금 계산은 어떻게 하지?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부터 계산 공식까지,
오늘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퇴직금이란?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후 퇴직할 때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이는 오랜 기간 일한 근로자를 보호하고, 퇴직 후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 퇴직금 받을 수 있는 조건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만 받을 수 있음.
1주일에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해당됨.
✔ 계약직, 정규직, 아르바이트 상관없이 고용 형태와 무관하게 받을 수 있음.

즉, 1년 이상 근무하고 주 15시간 이상 일했다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 계산은 아래 공식을 사용합니다.

📌 퇴직금 계산 공식

복사편집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여기서,
1일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급여 ÷ 총 일수(3개월)
근속연수 = 실제 근무한 년수 (단, 1년 미만은 받을 수 없음)

📌 퇴직금 계산 예시
예를 들어, 한 회사에서 5년 6개월(5.5년) 근무했고, 최근 3개월 급여가 총 900만 원이라면?

① 1일 평균임금 계산

  • 900만 원 ÷ 90일(3개월) = 1일 평균임금 10만 원

② 퇴직금 계산

  • 10만 원 × 30일 × 5.5년 = 1,650만 원

즉, 퇴직금은 약 1,650만 원이 됩니다.


3. 퇴직금 계산 시 주의할 점

✅ 1) 상여금, 성과급 포함 여부

✔ 상여금(보너스)과 성과급도 퇴직금 계산에 포함될 수 있음.
✔ 단, 퇴직 전 3개월 이내에 지급된 금액만 반영됨.

📌 예시

  • 매달 100만 원씩 지급되는 상여금이 있다면?
  • 퇴직 전 3개월 동안 받은 상여금 총액을 포함해 계산!

➡ 따라서, 퇴직하기 전 3개월 동안 어떤 급여를 받았는지가 중요합니다.


✅ 2) 퇴직금 세금(소득세) 적용 여부

✔ 퇴직금은 일정 금액 이상이면 세금이 부과됨.
✔ 다만, 일반 급여보다 세금 부담이 적은 편.
✔ **퇴직 소득세 자동 계산기(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면 예상 세액 확인 가능.

퇴직금에서 세금이 공제될 수 있으니, 세후 금액을 미리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3) 회사가 퇴직금을 주지 않을 경우

✔ 퇴직 후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하지만, 일부 사업장이 미지급하는 경우도 있음.
✔ 이 경우 고용노동부(1350)에 신고하면 강제 지급 가능.
✔ 법적으로 퇴직금 미지급 시 추가 이자(연 20%)까지 붙어서 지급해야 함.

📌 퇴직금 못 받았을 때 대처 방법
1️⃣ 회사에 공식적으로 요청하기 (내용증명 발송 가능)
2️⃣ 그래도 지급하지 않으면 고용노동부에 신고
3️⃣ 법적 절차(임금 체불 소송) 진행 가능

퇴직금은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이므로, 못 받았다면 꼭 대응해야 합니다.


4. 퇴직금 Q&A (자주 묻는 질문)

❓ 계약직, 아르바이트도 퇴직금 받을 수 있나요?

👉 네, 받을 수 있습니다.

  • 단, 1년 이상 근무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함.

❓ 퇴직금은 언제 지급되나요?

👉 퇴직 후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함.

❓ 퇴직금이 연봉에 포함된다고 하는데, 맞나요?

👉 일부 회사에서는 연봉 계약 시 ‘퇴직금 포함’이라고 명시하는 경우가 있음.

  • 하지만 법적으로 퇴직금을 포함해 연봉을 줄 수 없음!
  • 퇴직금은 별도로 지급해야 함.

❓ 퇴직금 지급이 안 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고용노동부에 신고(1350 상담센터)하면 강제 지급 가능.


5. 퇴직금 쉽게 계산하는 방법

퇴직금 계산이 어렵다면, 인터넷에서 자동 계산기를 활용하면 됩니다.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바로가기)
국세청 홈택스 퇴직소득세 계산기 (바로가기)

➡ 위 사이트에 접속해 급여와 근속연수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퇴직금 계산이 가능합니다.


6. 정리하자면?

퇴직금 계산 공식

  •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1일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 급여 ÷ 90일

퇴직금 받을 수 있는 조건

  • 1년 이상 근무 +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관계없이 적용됨

퇴직금 지급 시 주의할 점

  • 상여금, 성과급 포함 여부 확인
  • 퇴직금 세금(소득세) 확인
  • 퇴직 후 14일 이내 지급 원칙(미지급 시 신고 가능)

퇴직금 못 받을 경우?

  • 회사에 공식 요청 → 고용노동부 신고(1350) → 법적 조치 가능

7. 마무리

퇴직금은 퇴직 후 생활을 위해 반드시 챙겨야 하는 중요한 금액입니다.
퇴직 전 급여 내역을 잘 정리하고, 퇴직금이 정확히 계산되었는지 꼭 확인하세요!

혹시 퇴직금 미지급 문제가 발생했다면,
고용노동부(1350) 상담 센터에 문의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퇴직금과 퇴직연금의 차이도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