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금융 & 경제

보이지 않는 손 vs 보이는 손, 차이점 쉽게 정리!

baekyou 2025. 2. 12.
반응형

경제학에서는 시장이 스스로 조정되는 원리를 **‘보이지 않는 손’**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시장이 스스로 조정되지 않고, 정부나 기업이 직접 개입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하는데요.
이때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보이는 손’**입니다.

그렇다면 보이지 않는 손과 보이는 손은 어떻게 다를까요?
오늘은 두 개념의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보이지 않는 손 vs 보이는 손, 기본 개념

✅ 보이지 않는 손이란?

  • 18세기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Adam Smith)**가 주장한 개념
  • 시장에 맡기면(자유경쟁) 공급과 수요가 자동으로 조정됨
  • 정부가 개입하지 않아도, 개인들의 이기적인 선택이 결국 사회 전체의 이익으로 이어짐

📌 예시:
✔ 어떤 가게가 커피 가격을 7,000원으로 올리면?
✔ 소비자들은 자연스럽게 더 저렴한 카페로 이동하면서 가격이 조정됨
✔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지 않아도, 시장이 스스로 균형을 찾는 원리

즉, ‘보이지 않는 손’은 시장 경제가 스스로 움직이는 힘을 의미합니다.


✅ 보이는 손이란?

  • 20세기 경제학자 **앨프리드 챈들러(Alfred Chandler)**가 주장한 개념
  • 시장이 스스로 조정되지 않을 때, 정부나 기업이 직접 개입해야 함
  • 특히 대기업이 시장을 조정하면서 자원 배분을 관리하는 역할을 강조

📌 예시:
✔ 기업이 성장하면서 규모가 커지면, 자체적으로 생산과 가격을 조정하면서 시장을 통제
✔ 정부가 독과점 방지법을 만들거나, 최저임금 정책을 도입하는 것 역시 보이는 손의 역할

즉, ‘보이는 손’은 정부나 기업이 시장에 개입하는 힘을 의미합니다.


2. 보이지 않는 손과 보이는 손의 차이

보이지 않는 손보이는 손

개념 시장이 스스로 조정됨 정부나 기업이 직접 개입
주창자 아담 스미스 (1776) 앨프리드 챈들러 (1977)
조정 방식 자유 경쟁을 통해 가격·공급 조절 기업·정부가 직접 가격·생산 결정
주요 역할 수요와 공급이 자동 조정 대기업, 정부가 시장을 관리
예시 커피 가격이 오르면 소비자가 더 저렴한 곳을 찾으면서 가격이 조정됨 정부가 독과점 기업을 규제하거나, 기업이 자체적으로 가격 조정

3.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는 사례

✅ 1) 음식 가격 조정

✔ 만약 피자가게 A가 가격을 올리면?
✔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피자가게를 찾아 떠남
✔ A가게는 매출이 줄어들어 다시 가격을 내리게 됨

결과적으로 시장이 자연스럽게 가격을 조정하는 힘이 작동함


✅ 2) 인기 브랜드와 대체재 등장

✔ 특정 브랜드 운동화가 유행하면 가격이 상승
✔ 하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지면 소비자들은 대체 브랜드를 찾음
✔ 결국 기업은 가격을 다시 조정하거나, 경쟁 브랜드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균형이 형성됨

기업이 직접 가격을 조정하지 않아도, 경쟁을 통해 시장이 균형을 맞춤


4. 보이는 손이 필요한 사례

✅ 1) 환경오염 규제 (정부 개입)

✔ 기업들이 생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면?
✔ 시장 원리에 맡기면 환경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음
정부가 규제를 만들어 환경 보호 정책을 시행해야 함

이처럼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정부 개입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보이는 손’이 작동


✅ 2) 대기업이 가격을 통제하는 경우 (기업 개입)

✔ 대형 유통업체가 너무 낮은 가격으로 상품을 팔면, 소규모 가게들이 문을 닫게 됨
✔ 나중에는 대기업이 시장을 독점하게 되고, 소비자들은 더 높은 가격을 부담해야 함
공정거래법을 통해 독과점을 방지할 필요가 있음

경쟁이 사라지면 시장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정부 개입이 필요한 사례


✅ 3) 최저임금 정책 (정부 개입)

✔ 시장 원리에 따르면, 임금은 공급과 수요에 의해 결정됨
✔ 하지만 너무 낮은 임금이 형성되면 노동자들이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워짐
정부가 최저임금을 법으로 정해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함

시장 원리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이기 때문에 ‘보이는 손’이 개입해야 하는 사례


5. 보이지 않는 손과 보이는 손, 언제 필요한가?

보이지 않는 손이 효과적인 경우

  • 자유 경쟁이 활발할 때
  • 기업과 소비자 간 정보가 균형을 이룰 때
  • 공급과 수요가 자연스럽게 조정될 때

보이는 손이 필요한 경우

  • 독과점이 발생해 시장이 왜곡될 때
  • 환경오염, 공공재 부족 등 시장이 실패할 때
  • 최저임금, 노동환경 개선 등 정부 개입이 필요한 경우

6. 정리하자면?

보이지 않는 손: 시장이 자유롭게 작동하면, 수요와 공급이 자동으로 조정됨
보이는 손: 시장이 실패할 때, 정부나 기업이 개입해 문제를 해결해야 함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는 예시

  • 커피 가격이 비싸지면 소비자가 저렴한 곳을 찾아 균형이 형성됨
  • 유행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경쟁이 생기면서 가격이 조정됨

보이는 손이 필요한 예시

  • 환경오염 문제 → 정부가 규제 필요
  • 대기업 독과점 문제 → 공정거래법 적용
  • 최저임금 문제 → 정부 개입 필요

7. 마무리

경제학에서는 **보이지 않는 손(시장 자율 조정)**과 **보이는 손(정부·기업 개입)**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작용해야 한다고 봅니다.

완전한 자유시장도, 완전한 정부 개입도 모두 장점과 단점이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시장이 잘 작동하는 부분은 보이지 않는 손에 맡기고,
필요한 부분에서는 보이는 손이 개입하는 것이 가장 균형 잡힌 경제 운영 방식입니다.

다음에는 정부 개입이 성공한 사례와 실패한 사례를 비교하면서,
어떤 개입이 효과적인지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