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고지서를 받으셨는데 갑자기 금액이 사라지거나, "소액부징수"라는 문구를 보고 당황하신 적 있으신가요?
많은 분들이 “이거 무슨 뜻이지?” 하고 궁금해하시는 부분인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너무 적은 금액이라서 나라에서 굳이 걷지 않는 거예요.
소액부징수는 말 그대로 '너무 적어서 안 걷는 세금'
정부나 지자체는 세금을 걷을 때, 그 행정비용도 함께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100원짜리 세금을 걷기 위해 인쇄하고 발송하고 인력까지 쓰는 게 오히려 손해일 수 있겠죠. 그래서 일정 금액 이하의 세금은 아예 걷지 않고 ‘소액부징수’ 처리하는 겁니다.
기준 금액은 세금 종류마다 다릅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는 건 이거예요.
"그럼 도대체 얼마 이하부터는 안 걷는 거예요?"
국세(예: 종합소득세, 부가세 등)는 보통 1,000원 미만일 경우 소액부징수 대상이 됩니다.
지방세(예: 자동차세, 재산세 등)는 30원, 100원, 1,000원 이하 등 지자체마다 기준이 조금씩 달라요.
그래서 어떤 사람은 자동차세가 80원 남았는데 취소되기도 하고, 또 다른 사람은 900원 정도가 남아있지만 그냥 넘어가기도 합니다.
혹시 이게 탈세나 체납은 아닐까요?
전혀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소액부징수는 납세자가 일부러 안 낸 게 아니라, 국가나 지자체가 "이건 굳이 안 걷어도 돼" 하고 판단한 거예요.
신용이나 연말정산, 체납 이력 등에 불이익도 전혀 없습니다. 그냥 자동으로 없어지는 거라 편하게 생각하셔도 돼요.
만약 자진해서 내고 싶다면?
의외로 “나는 그래도 국가에 빚지는 기분이 싫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세요.
이럴 경우에는 관할 세무서나 구청 세무과에 문의해서 자진 납부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실무적으로는 아예 시스템에서 납부 자체가 막혀있는 경우도 있으니 반드시 확인이 필요해요.
마무리하며
소액부징수는 헷갈릴 수 있지만, 알고 보면 굉장히 단순한 제도입니다.
'돈이 아까워서 안 걷는 게 아니라, 오히려 걷는 비용이 더 드니까 안 걷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돼요.
세금이 사라졌다고 놀라실 필요도 없고, 이게 나쁜 기록으로 남는 것도 아니니까 걱정은 접어두셔도 좋습니다.
'용어 공부 > 세금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수익이 가족 계좌로 들어갔을 때 세금은 누구한테 나올까? (1) | 2025.03.23 |
---|---|
강사 소득은 근로소득일까? 사업소득일까? 신고 전 꼭 알아야 할 차이 (0) | 2025.03.23 |
현금영수증 조회 방법과 등록하는 법, 손택스나 홈택스로 1분 만에 끝내세요 (0) | 2025.03.23 |
비과세소득이 뭔가요? 세금 안 내는 소득 쉽게 정리 (0) | 2025.03.23 |
재산세 고지서 수령 및 주소 변경, 꼭 알아야 할 사항 (0) | 2025.03.23 |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하면? 미신고 시 불이익과 대처 방법 (0) | 2025.03.23 |
법인사업자 세무사 비용, 개인사업자보다 왜 더 비쌀까요? (0) | 2025.03.23 |
취득세란? 과세 대상과 세율 쉽게 정리 (0) | 2025.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