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세금 용어 정리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차이, 세금은 다르게 부과될까?

baekyou 2025. 4. 21.
반응형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은 모두 금융소득에 해당하며 세금이 부과되는 소득입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소득은 과세 방식이 다를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차이, 그리고 세금이 어떻게 부과되는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어떻게 다를까?

이자소득: 예금·적금, 채권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
배당소득: 주식·펀드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즉, 이자소득은 금융상품에서 약정된 이자를 받는 것이고,
배당소득은 기업이 이익을 배당하는 형태로 지급되는 소득입니다.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과세 방식 비교

구분이자소득배당소득
발생 원천 예금, 적금, 채권 등 주식 배당, 펀드 수익 배당
세율 15.4% 원천징수 15.4% 원천징수 (경우에 따라 추가 과세)
금융소득종합과세 적용 여부 2,000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 대상 2,000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 대상
추가 세금 없음 배당세액공제 가능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모두 기본적으로 15.4% 원천징수됩니다.
하지만 배당소득의 경우 배당세액공제라는 추가 세금 혜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배당소득만 받을 수 있는 세제 혜택 (배당세액공제)

배당소득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배당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세액공제란?

  • 배당소득이 종합소득과세 대상이 될 경우,
  • 종합과세로 인한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부 세액을 공제하는 제도

공제율

  • 일반 법인 배당: 11%
  • 중소기업 배당: 15%

즉, 배당소득은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될 경우, 일정 부분 세금 부담이 줄어드는 혜택이 있습니다.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중 어느 것이 유리할까?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원한다면 이자소득
배당세액공제 혜택을 활용하고 싶다면 배당소득
둘 다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2,000만 원)을 넘기면 종합과세 대상이 됨

즉, 세금 부담을 고려할 때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중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