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은 모두 금융소득에 해당하며 세금이 부과되는 소득입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소득은 과세 방식이 다를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차이, 그리고 세금이 어떻게 부과되는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어떻게 다를까?
이자소득: 예금·적금, 채권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
배당소득: 주식·펀드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즉, 이자소득은 금융상품에서 약정된 이자를 받는 것이고,
배당소득은 기업이 이익을 배당하는 형태로 지급되는 소득입니다.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과세 방식 비교
구분이자소득배당소득
발생 원천 | 예금, 적금, 채권 등 | 주식 배당, 펀드 수익 배당 |
세율 | 15.4% 원천징수 | 15.4% 원천징수 (경우에 따라 추가 과세) |
금융소득종합과세 적용 여부 | 2,000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 대상 | 2,000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 대상 |
추가 세금 | 없음 | 배당세액공제 가능 |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모두 기본적으로 15.4% 원천징수됩니다.
하지만 배당소득의 경우 배당세액공제라는 추가 세금 혜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배당소득만 받을 수 있는 세제 혜택 (배당세액공제)
배당소득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배당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세액공제란?
- 배당소득이 종합소득과세 대상이 될 경우,
- 종합과세로 인한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일부 세액을 공제하는 제도
공제율
- 일반 법인 배당: 11%
- 중소기업 배당: 15%
즉, 배당소득은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될 경우, 일정 부분 세금 부담이 줄어드는 혜택이 있습니다.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중 어느 것이 유리할까?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원한다면 이자소득
배당세액공제 혜택을 활용하고 싶다면 배당소득
둘 다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2,000만 원)을 넘기면 종합과세 대상이 됨
즉, 세금 부담을 고려할 때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이자소득과 배당소득 중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용어 공부 > 세금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거주자 소득세, 누가 대상이고 언제 내야 하나요? 헷갈리는 기준 쉽게 정리했습니다 (0) | 2025.04.22 |
---|---|
개별소비세 세율, 얼마나 부과될까? (0) | 2025.04.22 |
간이과세자의 매입세액 공제, 가능할까? (0) | 2025.04.21 |
공동사업자 대표자는 누구로 해야 유리할까? (0) | 2025.04.21 |
자녀장려금 자녀 기준, 몇 살까지 되고 몇 명까지 인정되나요? (0) | 2025.04.21 |
가산세 종류와 부과 기준 – 세금 신고·납부 지연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5.04.21 |
가족끼리 돈 주고받으면 세금 없을까? 증여세 기준 정확히 알아두세요 (0) | 2025.04.20 |
토지보상금도 증여세 나올 수 있다? 가족 간 보상금 수령 시 주의사항 (0) | 2025.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