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도 극과 극이 있다. 한쪽에서는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절약 소비’를 강조하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플렉스(FLEX) 소비’라고 해서 원하는 것에는 아낌없이 돈을 쓰는 소비 방식이 유행하고 있다. 요즘 사람들은 어떤 소비 성향을 보이고 있을까?
1. 절약 소비: 가계부 쓰고, 최저가 찾고, 알뜰하게 소비
절약 소비를 실천하는 사람들은 ‘필요한 것만 사고, 최대한 아껴 쓰자’는 원칙을 따른다. 요즘처럼 고물가 시대에는 이런 소비 방식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 절약 소비 대표적인 방법
- 가계부 쓰기: 소비 패턴을 점검하고 불필요한 지출 줄이기
- 최저가 검색 필수: 온라인에서 가격 비교 후 가장 저렴한 곳에서 구매
- 중고 거래 활용: 당근마켓, 번개장터 등을 이용해 필요한 물건을 저렴하게 구입
- 포인트·할인쿠폰 적극 활용: 신용카드 포인트, 멤버십 할인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
- 소비 습관 바꾸기: 커피값 아끼기, 배달 대신 직접 요리하기 등 생활 속 작은 실천
특히 요즘 MZ세대는 무조건 아끼는 것보다는 ‘스마트하게 절약하는 방법’을 찾는다. 예를 들어, OTT 서비스(넷플릭스, 디즈니+)를 친구들과 나눠 결제하거나, ‘세일 기간’을 활용해 필요한 제품을 미리 사두는 방식이다.
2. 플렉스 소비: 내 만족이 중요하다!
절약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에는 과감하게 소비하는 ‘플렉스 소비’도 인기다. ‘플렉스(FLEX)’는 원래 미국 힙합 문화에서 유래한 단어로, 돈을 아낌없이 쓰는 모습을 의미한다. 이제는 단순한 사치가 아니라 ‘자신이 만족할 만한 소비’라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 플렉스 소비 대표적인 특징
- 명품, 한정판 제품 구매: 루이비통, 샤넬 같은 명품 브랜드부터 한정판 스니커즈, 피규어 등 희소성이 있는 제품 소비
- 경험 중심 소비: 고급 레스토랑, 여행, 콘서트 VIP석 등 특별한 경험을 위해 아낌없이 투자
- 자기만족을 위한 소비: 비싼 운동 기구, 홈카페 기기, 최신 스마트폰 등 일상 속에서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제품 구매
- SNS 인증 문화: 소비 자체가 콘텐츠가 되는 경우가 많아, 소비 후 SNS에 인증하는 경우가 많음
‘열심히 일한 내가, 나에게 주는 선물’이라는 인식이 강하며, 꼭 사치가 아니라 자신의 행복을 위해 소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3. 절약과 플렉스를 동시에? ‘스마트 컨슈머’의 등장
한쪽에서는 아끼고, 한쪽에서는 과감하게 소비하는 ‘스마트 컨슈머’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평소에는 절약을 하지만, 정말 원하는 것에는 돈을 아낌없이 쓰는 방식이다.
✅ 스마트 컨슈머의 소비 패턴
- 배달비 아끼고 직접 요리, 대신 여행 갈 때는 럭셔리 호텔 선택
- 옷은 가성비 브랜드에서 구매, 하지만 가방이나 신발은 명품으로 투자
- 중고거래로 돈을 절약하고, 남은 돈으로 플렉스 소비
이처럼 요즘 소비 트렌드는 절약과 플렉스를 적절히 조화롭게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맞는 소비 방식’
절약 소비든 플렉스 소비든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맞는 소비 습관을 찾는 것이다. 무조건 돈을 아끼는 것이 답이 아닐 수도 있고, 반대로 무분별한 플렉스 소비도 결국 후회로 이어질 수 있다.
자신의 소비 성향을 잘 분석하고, 필요할 때는 아끼고, 만족할 때는 투자하는 균형 잡힌 소비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소비에도 전략이 필요한 시대, 여러분은 어떤 소비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가?
'용어 공부 > 금융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인, 특가, 핫딜! 요즘 소비자들은 어떻게 싸게 살까? (0) | 2025.02.14 |
---|---|
구독 경제, 요즘 사람들은 왜 ‘소유’보다 ‘구독’을 선택할까? (0) | 2025.02.14 |
시장경제란? 개념부터 특징까지 쉽게 정리 (0) | 2025.02.14 |
소비 심리와 경제 상황, 돈 쓰는 방식이 이렇게 달라진다 (0) | 2025.02.14 |
MZ세대 소비 트렌드, 이렇게 변하고 있다! 최신 흐름 정리 (1) | 2025.02.14 |
부채비율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투자 전에 꼭 알아야 할 것 (0) | 2025.02.14 |
소비자 잉여와 가격 차별 – 기업은 어떻게 소비자의 이득을 줄일까? (1) | 2025.02.14 |
소비자 잉여의 한계와 비판 – 완벽한 개념일까? (0) | 2025.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