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세금 용어 정리

일용직 소득세는 얼마나 빠질까? 일당 기준 세금 계산법 쉽게 알려드릴게요

baekyou 2025. 4. 27.
반응형

“하루 일하고 돈 받았는데 몇 천 원 빠졌더라고요. 소득세인가요?”
“3.3%만 떼면 되는 줄 알았는데, 일용직은 또 다른가요?”

이런 질문 정말 자주 받습니다.
특히 처음 일용직 근무를 하신 분들이나, 일용직을 고용하는 사업자 분들이 세금 부분에서 헷갈려 하시는 경우가 많아요.

오늘은 일용직 소득세가 실제로 얼마나 빠지는지,
3.3%랑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일당 기준으로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를 쉽게 설명드릴게요.


일용직 소득세는 ‘하루 일당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일용직은 기본적으로 근로소득에 해당합니다.
즉, 프리랜서처럼 **사업소득(3.3%)**이 아니라, 근로소득세율이 적용되는데요,
정규직처럼 월급 전체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게 아니라, 하루 일당을 기준으로 세금이 계산돼요.

그래서 일당이 작을 경우에는 세금이 거의 안 빠지거나, 아예 안 빠지는 경우도 많고,
일당이 높을수록 소득세 + 지방소득세가 같이 빠지는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당에 따라 얼마나 빠지나요? 실제 예시로 보여드릴게요

실제로 얼마나 빠지는지 궁금하시죠?
아래는 실무에서 자주 나오는 일당 기준 세금 예시입니다.

일당 (총 지급액)소득세지방소득세실수령액
100,000원 370원 30원 약 99,600원
150,000원 1,320원 130원 약 148,550원
200,000원 2,970원 290원 약 196,740원
250,000원 5,120원 510원 약 244,370원

※ 세금은 국세청 일용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기준
※ 실제 근무 일수나 공제 항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세금은 일당이 올라갈수록 점점 누진적으로 커지는 구조예요.
하지만 그 비율은 크지 않아서, 대체로 총액의 1~2% 정도가 빠진다고 생각하시면 감이 잡히실 거예요.


“프리랜서는 3.3%인데, 왜 나는 다르게 빠지나요?”

정말 많이 받는 질문입니다.
프리랜서(사업소득자)는 수입에서 3.3%를 정액으로 원천징수합니다.

  • 3%는 소득세,
  • 0.3%는 지방소득세

그런데 일용직은 근로소득자이기 때문에,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세율이 적용되는 방식이에요.
그리고 매달 누적되는 게 아니라, 하루 단위로 계산되기 때문에
정규직보다 세 부담은 상대적으로 낮고, 3.3%보다도 적게 빠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즉, 3.3%는 프리랜서용
일용직은 일당 구간별 세율로 따로 계산되는 구조라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그럼 세금 적게 떼는 법은 없을까요?

일용직 소득세는 고정된 세율이 아니기 때문에
“절세”를 위해 일부러 일당을 낮춘다거나, 나눠서 받는다거나 하는 방식은 크게 효과가 없습니다.

다만, 아래처럼 기본적인 방법은 활용해볼 수 있어요.

  • 교통비나 식대는 급여 외 별도로 구분해서 지급받기
    → 식대나 교통비는 비과세 항목이라 세금에 포함되지 않아요.
    → 단, 일정 한도 내에서만 인정되니 주의!
  • 소득이 적은 해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환급 가능 여부 확인
    → 비록 일용직은 연말정산 대상이 아니지만,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세금 환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룰게요)

정리하자면

  • 일용직도 소득세가 빠지며, 하루 일당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일당이 적으면 세금이 거의 없거나 아주 조금만 빠지며,
    일당이 높을수록 누진세율에 따라 조금 더 빠지게 됩니다
  • 프리랜서의 3.3%와는 구조가 다르며, 일용직은 근로소득에 해당해 세금 계산 방식이 다름
  • 식대나 교통비 등은 비과세로 구분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일정 조건에서 환급도 가능하니 소득 정리 잘 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세금이라는 게 어렵게 느껴지지만,
일용직은 구조 자체가 단순하고, 대부분 고용주가 원천징수해주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건 없습니다.

다만 내가 왜 얼마를 떼였는지, 나중에 환급 가능성은 있는지
이 정도는 알고 계시면 현장에서 일하시거나 고용하실 때 훨씬 깔끔하게 처리하실 수 있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