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금융 & 경제

기대효용 계산법, 어렵지 않아요!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기

baekyou 2025. 2. 8.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대효용을 숫자로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대효용은 선택의 결과를 비교하고,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개념인데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간단한 공식과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릴게요!


기대효용 계산의 기본 공식

기대효용은 다음의 간단한 공식을 사용해 계산할 수 있어요:

기대효용 = (결과1의 효용 × 결과1이 일어날 확률) + (결과2의 효용 × 결과2가 일어날 확률) + ...

즉, 각 결과에서 얻을 수 있는 만족감(효용)에 해당 결과가 발생할 확률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하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각 선택이 가져올 결과와 그 결과가 발생할 확률을 잘 이해하는 거예요.


예시로 알아보기: 동전을 던지는 게임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게임이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100만 원을 받는다.
  • 뒷면이 나오면 0원을 받는다.

이 게임의 기대효용을 계산해보겠습니다.

  1. 앞면이 나올 확률: 50% (0.5)
    • 앞면이 나왔을 때의 효용: 100만 원
  2. 뒷면이 나올 확률: 50% (0.5)
    • 뒷면이 나왔을 때의 효용: 0원

기대효용 = (100만 원 × 0.5) + (0원 × 0.5) = 50만 원

이 게임의 기대효용은 50만 원입니다. 즉, 이 게임을 하면 평균적으로 50만 원의 만족감을 얻는다고 볼 수 있어요.


예시 2: 보험 선택

이번에는 보험 사례를 살펴볼게요.

  •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10%이고, 사고 시 손실은 500만 원입니다.
  • 보험료는 30만 원이며, 보험에 가입하면 손실을 전혀 보지 않습니다.

1. 보험에 가입하지 않을 경우 기대효용

  • 사고가 날 확률: 10% (0.1)
    • 사고가 날 때 손실: -500만 원
  • 사고가 나지 않을 확률: 90% (0.9)
    • 손실 없음: 0원

기대효용 = (-500만 원 × 0.1) + (0원 × 0.9) = -50만 원

2. 보험에 가입할 경우 기대효용

  • 보험료를 지불하므로, 손실은 고정적으로 -30만 원.
  • 확률에 관계없이 결과가 확정되므로 기대효용은 -30만 원.

보험에 가입하면 손실이 -30만 원으로 고정되지만, 가입하지 않을 경우 평균적으로 -50만 원의 손실을 보게 됩니다. 따라서 기대효용이 더 높은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으로 보이네요.


효용 함수의 개념

여기서 효용은 단순히 금전적 가치를 의미하는 게 아니라, 개인이 느끼는 만족감이에요.
사람에 따라 같은 금액이라도 효용이 다르게 느껴질 수 있어요.
예를 들어:

  • 10만 원은 부자에게는 작은 돈이지만, 학생에게는 큰 만족감을 줄 수 있죠.

효용 함수는 보통 점점 작아지는 형태를 가집니다. 즉, 돈이 많아질수록 추가적으로 얻는 만족감은 점점 줄어든다는 뜻이에요.


기대효용 계산, 이렇게 활용하세요!

기대효용 계산은 우리 일상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요.

  • 투자 선택: 주식, 부동산, 예금 중 어디에 투자할지 비교할 때.
  • 보험 가입: 보험료와 사고 확률, 손실 비용을 따져서 가입 여부를 결정할 때.
  • 도박/복권: 게임의 기대효용을 계산해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때.

기대효용을 잘 활용하려면?

  1. 확률과 결과를 정확히 평가하기
    선택에 따른 결과와 그 확률을 제대로 이해해야 해요.
  2. 자신의 효용 함수 파악하기
    같은 금액이라도 자신의 만족감을 어떻게 느끼는지 파악해보세요.
  3. 장기적 관점에서 생각하기
    단기적인 결과에 집착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기대효용을 따져보는 습관을 길러보세요.

오늘은 기대효용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어요. 복잡해 보이지만, 공식을 알고 나면 생각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답니다. 다음에도 여러분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도움 되는 유익한 정보로 찾아올게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