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금융 & 경제

IS-LM 모형에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효과 –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baekyou 2025. 3. 3.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IS-LM 모형에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경제 뉴스를 보면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경기 부양 기대", "중앙은행 금리 인하, 통화 완화 효과 기대" 같은 기사를 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정책들이 실제로 경제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IS-LM 모형을 통해 이해해 보겠습니다.


1.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어떻게 다를까?

IS-LM 모형에서 정부와 중앙은행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경제를 조절합니다.

  • 재정정책(Fiscal Policy) → 정부가 지출을 늘리거나 세금을 조정하는 정책
  • 통화정책(Monetary Policy) →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조절하거나 금리를 변화시키는 정책

이 두 가지 정책은 IS 곡선과 LM 곡선의 이동을 통해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2. IS-LM 모형에서 재정정책의 효과

1) 확장적 재정정책(Expansionary Fiscal Policy) – 경기 부양

정부가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재정 지출을 늘리거나 세금을 감면하는 경우 IS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합니다.

  • 정부 지출 증가 → 소비·투자 증가 → 총수요 증가 → 국민소득(Y) 증가
  • IS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소득 상승, 이자율 상승

재정정책의 장점과 단점

장점

  • 국민소득이 증가하여 경제가 활성화됨
  • 정부 투자로 인해 실업률 감소 효과

단점(구축 효과, Crowding-Out Effect)

  • 이자율 상승으로 인해 민간 투자 위축 가능
  • 정부 부채 증가로 장기적으로 경제에 부담

예시: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각국 정부가 대규모 재정지출(공공사업 투자, 감세 등)을 통해 경기 회복을 시도

2) 긴축적 재정정책(Contractionary Fiscal Policy) – 경기 과열 억제

정부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거나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금을 인상하거나 정부 지출을 줄이는 경우 IS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합니다.

  • 정부 지출 감소 → 총수요 감소 → 국민소득(Y) 감소, 이자율 하락
  • 경기 과열을 억제하고 물가 안정 효과

3. IS-LM 모형에서 통화정책의 효과

1) 확장적 통화정책(Expansionary Monetary Policy) – 경기 부양

중앙은행이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거나 통화 공급을 증가시키는 경우 LM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합니다.

  • 통화량 증가 → 금리 하락 → 투자 증가 → 국민소득(Y) 증가
  • LM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금리 하락, 경제 활성화

통화정책의 장점과 단점

장점

  • 이자율이 낮아져 민간 기업의 투자와 소비 증가
  • 부채 부담이 줄어들어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

단점(유동성 함정, Liquidity Trap)

  • 금리를 낮춰도 경제 회복이 안 될 가능성
  • 시중의 유동성이 늘어도 기업과 가계가 소비·투자를 늘리지 않으면 효과가 제한적

예시:

  • **일본의 장기 경기 침체(1990년대 이후)**에서 금리를 0%까지 낮췄지만, 경제 회복 효과가 크지 않음

2) 긴축적 통화정책(Contractionary Monetary Policy) – 인플레이션 억제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거나 통화 공급을 축소하는 경우 LM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합니다.

  • 통화량 감소 → 금리 상승 → 투자 감소 → 국민소득(Y) 감소
  • 물가 상승 억제, 경제 과열 방지

예시: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정책(2022년~2023년)
    •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빠르게 인상하여 경제를 조정

4.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일까?

IS-LM 모형에서는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경제에 영향을 미칩니다.

비교 항목재정정책(IS 곡선 이동)통화정책(LM 곡선 이동)

정책 시행 주체 정부 중앙은행
이동하는 곡선 IS 곡선(우측 또는 좌측) LM 곡선(우측 또는 좌측)
확장적 정책 효과 정부 지출 증가로 국민소득 증가, 하지만 이자율 상승 가능 금리 인하로 투자 증가, 경기 부양 효과
긴축적 정책 효과 세금 인상으로 소비 감소, 경기 둔화 가능 금리 인상으로 소비·투자 감소, 인플레이션 억제
한계점 구축 효과(이자율 상승으로 민간 투자 위축) 유동성 함정(금리를 내려도 경제 회복이 안 될 가능성)

재정정책이 더 효과적인 경우

  • 금리가 낮아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어려운 경우(유동성 함정)
  • 정부가 직접 경제에 개입해야 하는 경우(예: 대규모 경기 침체)

통화정책이 더 효과적인 경우

  • 정부 부채 부담이 크지 않고, 중앙은행이 금리를 적극 조정할 수 있는 경우
  •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거나 금융 시장을 안정화해야 하는 경우

5. 정리하자면

  • 재정정책(IS 곡선 이동)
    • 확장적 재정정책: 정부 지출 증가, 감세 → IS 곡선 우측 이동 → 국민소득 증가, 이자율 상승 가능
    • 긴축적 재정정책: 정부 지출 축소, 세금 인상 → IS 곡선 좌측 이동 → 국민소득 감소, 경기 둔화
  • 통화정책(LM 곡선 이동)
    • 확장적 통화정책: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 통화 공급 증가 → LM 곡선 우측 이동 → 금리 하락, 투자 증가
    • 긴축적 통화정책: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 통화 공급 축소 → LM 곡선 좌측 이동 → 금리 상승, 소비·투자 감소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선택
    • 경기 침체 시: 확장적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조합하여 경기 부양
    • 인플레이션 우려 시: 긴축적 통화정책을 활용하여 물가 안정

앞으로 경제 뉴스를 볼 때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지출을 늘린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한다" 같은 기사가 나오면,
"이 정책이 IS-LM 모형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킬까?"를 생각해 보면 경제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경제 개념을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