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금융 & 경제

험프리-호킨스 법, 왜 만들어졌을까? 역사적 배경 정리

baekyou 2025. 2. 21.
반응형

법이나 정책이 생길 땐 다 이유가 있죠. 험프리-호킨스 법(Humphrey-Hawkins Act)도 예외가 아닙니다.
이 법이 나온 배경을 이해하려면, 1970년대 미국 경제 상황부터 살펴봐야 합니다.


1. 1970년대 미국, 경제가 엉망이었다

험프리-호킨스 법이 제정된 1978년, 미국은 경제적으로 상당히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이전까지는 경제가 나빠져도 어느 한쪽만 문제 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예를 들어, 경기가 침체되면 실업률이 올라가지만 물가는 안정됐고, 경기가 과열되면 물가는 오르지만 실업률은 낮았죠.

그런데 1970년대에는 "둘 다 안 좋은 최악의 조합", 즉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나타났습니다.
이게 어떤 상황인지 쉽게 설명해볼게요.


2. 스태그플레이션, 도대체 뭐길래?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 경기 침체(Stagnation) + 물가 상승(Inflation)

✔ 보통 경제가 안 좋으면 물가가 안정되고, 경기가 좋아지면 물가가 오르는 게 일반적입니다.
✔ 그런데 1970년대 미국에서는 실업률도 높고, 물가도 계속 오르는 이상한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 경기는 침체됐는데도 생활비(물가)가 점점 비싸지는 거죠.

이게 왜 문제냐면,

  • 실업자가 많으면 정부가 돈을 풀어서 일자리를 만들어야 하는데,
  • 물가가 너무 올라서 돈을 풀면 인플레이션이 더 심해지는 상황이었어요.

정부 입장에서는 도대체 무슨 대책을 써야 할지 난감한 상태였던 겁니다.


3. 오일쇼크가 불을 붙였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가장 큰 원인은 **오일쇼크(Oil Shock)**였습니다.

1973년 1차 오일쇼크
1979년 2차 오일쇼크

이때 석유 가격이 폭등하면서 전 세계 경제가 크게 흔들렸어요.
석유는 공장 가동, 자동차 연료, 난방 등 거의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필수 자원이죠.
그런데 중동의 정치적 갈등으로 석유 공급이 줄어들자 원유 가격이 폭등했고, 그 여파로 물가도 급등했습니다.

예를 들면,

  • 미국에서 기름값이 1년 만에 2~3배 올라가고
  • 공장 운영 비용이 늘어나면서 제품 가격도 오르고
  • 생활비가 비싸지니 기업들은 임금을 올려주기 어려웠고
  • 결국 해고가 늘어나면서 실업률이 상승하는 악순환이 반복됐죠.

4. 정부가 손 놓고 있을 수 없었다

이런 경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경제가 알아서 돌아가도록 내버려 두면 안 된다,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입니다.

바로 이때, 민주당 의원이던 **휴 험프리(Hubert Humphrey)**와 **오스틴 호킨스(Augustus Hawkins)**가 새로운 법안을 제안했어요.
그게 바로 험프리-호킨스 법입니다.


5. 험프리-호킨스 법이 담은 해결책

이 법이 제정된 이유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경제 문제를 해결하라는 의미였습니다.
그래서 두 가지 해결책을 법안에 포함시켰어요.

1) 대통령이 경제 목표를 설정하고 매년 보고해야 한다
2) 연방준비제도(Fed)는 물가뿐만 아니라 고용도 신경 써야 한다

이전에는 정부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돈을 풀거나,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금리를 조정하긴 했지만,
이걸 공식적으로 법으로 정한 건 험프리-호킨스 법이 처음이었어요.


6. 요약 정리

✔ 1970년대 미국은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고실업)**으로 경제가 최악의 상황이었음
오일쇼크로 인해 물가 상승이 심각했고, 기업들은 해고를 늘려 실업률도 높아짐
✔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험프리-호킨스 법이 등장
✔ 이 법을 통해 정부가 경제 목표를 설정하고 보고하도록 의무화했고, 연준도 고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원칙을 세움


1970년대 미국 경제 위기가 험프리-호킨스 법을 탄생시킨 배경이었습니다.
지금도 연준이 금리를 조정할 때 고용률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이유가 바로 이 법에서 시작됐다고 볼 수 있어요.

이제 험프리-호킨스 법이 왜 만들어졌는지 이해가 좀 더 쉬워졌나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