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금융 & 경제

실생활에서 보는 수요곡선의 예외, 기펜재와 베블런재

baekyou 2025. 2. 14.
반응형

경제학에서는 **"수요곡선은 보통 우하향한다"**고 배웁니다.
즉,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고,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늘어나는 게 일반적이죠.

그런데, 가끔 이 법칙이 통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예를 들어, 어떤 상품은 가격이 올랐는데도 더 많이 팔리고, 가격이 내리면 오히려 안 팔리기도 합니다.

이런 특별한 경우를 **"수요곡선의 예외"**라고 하는데요,
대표적으로 **기펜재(Giffen Goods)**와 **베블런재(Veblen Goods)**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개념을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1. 기펜재(Giffen Goods): 가격이 올라도 더 사는 상품?

✅ (1) 기펜재란?

기펜재는 가격이 올랐을 때 오히려 수요가 증가하는 상품입니다.
보통은 가격이 오르면 소비가 줄어야 하는데, 기펜재는 반대죠.

이 개념은 19세기 경제학자 **로버트 기펜(Robert Giffen)**이 처음 발견했어요.
그는 극심한 빈곤 상태에서 특정 상품의 가격이 올랐을 때도, 오히려 더 소비하는 현상을 발견했죠.

✅ (2) 왜 이런 일이 생길까?

기펜재가 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아요.

소득이 낮은 계층이 주로 소비하는 필수재일 것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한 대체재가 없을 것

예를 들어, 극도로 가난한 사람들이 주식(主食)으로 먹는 음식이 대표적인 기펜재입니다.

📌 기펜재 예시

  • 쌀, 감자, 빵 등 저렴한 기본 식량
    → 가격이 오르면 더 비싼 음식(고기, 과일)을 살 여력이 없어짐 → 오히려 더 많이 구매
  • 저가형 라면
    → 경제가 나빠질수록 값싼 식사로 라면 소비가 늘어남

즉, 가격이 오르면 더 사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생기는 거죠.


2. 베블런재(Veblen Goods): 비쌀수록 더 사고 싶다?

✅ (1) 베블런재란?

베블런재는 가격이 올라갈수록 오히려 수요가 증가하는 상품입니다.
고급 브랜드 제품에서 이런 현상을 많이 볼 수 있어요.

이 개념은 19세기 경제학자 **소스타인 베블런(Thorstein Veblen)**이 주장해서 그의 이름을 따왔어요.
그는 사람들이 어떤 상품을 구매할 때, 단순한 효용뿐만 아니라 '과시 효과'를 고려한다고 분석했죠.

✅ (2) 왜 이런 일이 생길까?

베블런재가 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아요.

부를 과시하고 싶은 심리가 있을 것
희소성이 강조될 것(남들이 쉽게 못 사는 제품일수록 더 가치 있음)

📌 베블런재 예시

  • 명품 브랜드(루이비통, 샤넬, 롤렉스 등)
    → 가격이 비쌀수록 "부자의 상징"이 되어 더 사고 싶어짐
  • 한정판 스니커즈(조던, 나이키 콜라보 제품)
    → 비싸질수록 희소성이 커져서 수요 증가
  • 슈퍼카(람보르기니, 페라리 등)
    → 비싸서 아무나 못 사기 때문에 더욱 인기

즉, 가격이 비쌀수록 사람들이 더 원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거죠.


3. 기펜재 vs. 베블런재, 차이점 비교

구분기펜재(Giffen Goods)베블런재(Veblen Goods)

특징 가격이 올라도 수요 증가 가격이 오를수록 더 사고 싶음
이유 가난한 사람들이 대체재 없이 소비 부유층이 희소성·과시 효과 때문에 소비
예시 쌀, 감자, 라면 명품 가방, 한정판 스니커즈, 슈퍼카
대표적인 경제학자 로버트 기펜 소스타인 베블런

쉽게 말해서,

  • 기펜재는 "어쩔 수 없이 더 사야 하는 경우"
  • 베블런재는 "비싸서 더 사고 싶은 경우"

라고 보면 됩니다!


4.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례

경제 불황 vs. 라면 소비

  • 경기가 안 좋아지면, 사람들이 외식 대신 라면 같은 저가 식품을 더 찾음
  • 라면 가격이 오르더라도 대체재가 없어서 여전히 많이 소비

한정판 효과 vs. 명품 브랜드 전략

  • "이번 시즌 한정판, 품절 직전!" → 소비자들이 더 몰림
  • 가격이 높을수록 희소성이 강조되어 더욱 인기

스포츠 경기와 VIP 좌석

  • 일반 좌석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이 덜 사지만,
  • VIP 좌석이나 스카이박스는 오히려 가격이 높을수록 가치 상승

고급 레스토랑과 와인 가격

  • 같은 와인도 가격을 더 비싸게 책정하면 "더 좋은 와인일 것 같다"는 심리가 작용

이처럼 경제 원리를 알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더 흥미롭게 볼 수 있어요!


5. 정리

기펜재(Giffen Goods)

  • 가격이 올라도 더 소비하는 제품
  • 저소득층이 필수적으로 소비하는 상품(쌀, 감자, 라면)

베블런재(Veblen Goods)

  • 가격이 오를수록 더 사고 싶어지는 제품
  • 희소성, 과시 효과가 있는 명품, 슈퍼카 등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예시

  • 기펜재: 경제 불황일 때 라면 소비 증가
  • 베블런재: 명품 브랜드가 가격을 올릴수록 더 인기

이제 경제 뉴스를 볼 때, "왜 어떤 제품은 가격이 올라가도 더 잘 팔릴까?" 하는 궁금증이 풀릴 거예요.
다음번에 쇼핑할 때, 내가 베블런 효과에 휩쓸리고 있는 건 아닌지 한 번 생각해 보면 재미있을 거예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