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금융 & 경제

희망퇴직금 세금 처리 및 신고 방법, 얼마나 떼일까?

baekyou 2025. 5. 3.
반응형

희망퇴직금을 받게 되면 가장 궁금한 점 중 하나가 **"세금이 얼마나 나올까?"**입니다.
보통 희망퇴직금을 받으면 퇴직소득세 또는 근로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는데요.
같은 금액을 받아도 세금 처리 방식에 따라 실수령액이 크게 차이 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희망퇴직금에 부과되는 세금, 세금 계산 방법, 그리고 절세 방법까지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1. 희망퇴직금, 세금이 부과될까?

희망퇴직금을 받을 때 적용되는 세금은 크게 퇴직소득세근로소득세 두 가지입니다.
이 금액이 어떤 소득으로 분류되느냐에 따라 세금이 달라집니다.

퇴직소득세 적용 (세금 부담 낮음)

  • 법적으로 퇴직금 성격을 인정받으면 퇴직소득세가 적용됨
  • 퇴직소득세는 일반 근로소득세보다 세율이 낮음
  • 장기 근속할수록 세율이 더 낮아지는 구조

근로소득세 적용 (세금 부담 높음)

  • 희망퇴직금이 일반적인 위로금, 성과급 등의 성격이면 근로소득세 부과
  • 근로소득세는 누진세 구조(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 적용)

즉, 희망퇴직금이 ‘퇴직소득’으로 인정받으면 세금 부담이 낮아지지만, ‘근로소득’으로 분류되면 세금이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2. 희망퇴직금 세금 계산 방법

① 퇴직소득세 계산 방식

퇴직소득세는 근속연수와 평균 급여를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근속연수가 길수록 세율이 낮아집니다.

예제

  • 연봉: 6,000만 원
  • 근속 연수: 20년
  • 희망퇴직금: 2억 원

퇴직소득세를 계산할 때는 퇴직소득공제가 적용되며,
일반적으로 근속 연수가 길수록 공제액이 커지고, 세금이 줄어듭니다.

퇴직소득세 예상 부담

  • 퇴직소득세: 약 1,500만 원 ~ 2,000만 원
  • 실수령액: 약 1억 8,000만 원 ~ 1억 8,500만 원

② 근로소득세 계산 방식

근로소득세는 일반 급여처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즉, 희망퇴직금을 많이 받을수록 세금도 더 많아집니다.

예제

  • 희망퇴직금: 2억 원
  • 근로소득세율 적용 시: 약 4,000만 원 ~ 5,000만 원 세금 부과 가능

같은 금액이라도 근로소득세를 적용하면 세금이 훨씬 커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희망퇴직금을 받을 때는 "퇴직소득"으로 인정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희망퇴직금 세금 절감 방법

① 희망퇴직금을 퇴직소득으로 인정받기

  • 회사와 협의하여 희망퇴직금을 퇴직소득으로 지급받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 근속 연수가 길고, 퇴직금과 유사한 방식으로 지급되면 퇴직소득세 적용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② 퇴직연금 계좌(IRP) 활용하기

  • 희망퇴직금을 퇴직연금(IRP) 계좌로 이체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퇴직소득세를 즉시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연금 형태로 수령하면 세금이 분산되어 부담이 줄어듦

IRP 활용 예시

  • 2억 원을 IRP 계좌에 넣고, 매년 일정 금액씩 연금으로 인출
  • 연금 수령 시 소득세율이 낮아져 세금 부담 절감

IRP 계좌를 활용하면 퇴직소득세를 한 번에 내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③ 연도 분할 수령 전략 활용하기

  • 희망퇴직금을 한 번에 받지 않고, 두 해에 걸쳐 나눠서 받으면 세금 부담이 줄어듦
  • 근로소득세는 누진세 구조이기 때문에, 연도별로 나눠서 받으면 과세 구간을 낮출 수 있음

예제

  • 2024년 12월: 1억 원 지급
  • 2025년 1월: 1억 원 지급

이렇게 하면 연소득을 분산시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희망퇴직금 신고 및 세금 납부 방법

희망퇴직금을 받으면 회사에서 세금을 원천징수한 후 지급합니다.
따라서 별도로 신고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처리되지만, 본인이 직접 확인해야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세금 신고 및 납부 과정

  1. 회사에서 희망퇴직금을 지급할 때 세금 원천징수
  2. 퇴직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수령
  3.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필요 시)
  4. 세금 환급이 가능한 경우, 환급 신청 가능

5. 정리

희망퇴직금 세금 부과 방식

  • 퇴직소득세 적용 (세금 부담 적음) → 근속연수가 길수록 유리
  • 근로소득세 적용 (세금 부담 큼) → 일반적인 위로금, 성과급은 높은 세율 적용

희망퇴직금 세금 줄이는 방법

  • 퇴직소득으로 인정받기 (회사와 협의)
  • 퇴직연금(IRP) 계좌 활용하여 세금 분산
  • 연도별로 나눠서 수령하여 세율 낮추기

세금 신고 및 납부 방법

  • 회사에서 원천징수 후 지급
  • 퇴직소득 원천징수영수증 확인
  • 필요 시 종합소득세 신고 및 환급 신청

희망퇴직금은 받는 금액도 중요하지만, 세금 부담을 어떻게 줄이느냐도 매우 중요합니다.
퇴직소득으로 인정받고, 퇴직연금 계좌를 활용하는 등의 방법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