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금융 & 경제

자산유동화증권(ABS)이란? 쉽게 이해하는 구조와 개념

baekyou 2025. 4. 25.
반응형

금융 뉴스에서 가끔 **자산유동화증권(ABS)**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기업이 돈이 필요할 때, 가지고 있는 자산을 활용해 증권을 발행하는 방식인데요.
은행이나 카드사 같은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대기업들도 자금 조달을 위해 ABS를 활용합니다.

그렇다면 ABS는 정확히 무엇이고, 어떻게 발행되는 걸까요?
ABS의 기본 개념
ABS 발행 구조와 과정
ABS를 활용하는 이유

지금부터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자산유동화증권(ABS)이란?

자산유동화증권(Asset-Backed Securities, ABS)이란?

  •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보유한 **미래에 현금이 들어올 자산(채권, 대출채권 등)**을 묶어서,
    이를 담보로 투자자들에게 판매하는 증권입니다.
  • 쉽게 말해, 아직 받지 못한 돈(채권)을 당장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금융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카드사가 보유한 대출채권을 ABS로 발행하는 경우

  1. 카드사가 고객들에게 신용카드 대출을 해줌
  2. 대출을 받은 고객들은 매달 카드사에 원금과 이자를 상환해야 함
  3. 카드사는 이 미래에 받을 돈(대출채권)을 투자자들에게 팔아서 당장 현금을 확보함
  4. 카드사가 이 대출채권을 기반으로 ABS를 발행하면, 투자자들이 이 증권을 사게 됨

즉, ABS는 미래에 받을 돈을 기반으로 지금 당장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금융상품입니다.


2. 자산유동화증권(ABS)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ABS는 자산을 유동화하는 과정을 통해 발행됩니다.
자산유동화란? 현금 흐름이 발생하는 자산을 모아서 증권화하는 것

ABS 발행 구조

  1. 자산 보유자(Originator)
    • 금융기관(은행, 카드사, 캐피탈사) 또는 기업이 ABS를 발행하기 위해 자산을 제공
    • 예) 카드사의 신용카드 채권, 자동차 할부금융 채권 등
  2. SPC(특수목적회사, Special Purpose Company)
    • ABS를 발행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법인
    • 원래 자산을 보유한 기업과 분리된 형태로 운영됨
    • SPC가 투자자들에게 ABS를 발행하고, 자산에서 나오는 현금 흐름을 투자자들에게 지급
  3. 투자자
    • ABS를 매수하는 기관투자자 또는 개인투자자
    • ABS를 매수하면 일정 기간 동안 이자를 받거나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음

ABS 발행 과정

  1. 카드사(자산 보유자)가 신용카드 대출 채권을 SPC에 넘김
  2. SPC가 이 자산을 기반으로 ABS를 발행
  3. 투자자들이 ABS를 매수하면, 카드사는 당장 현금을 확보할 수 있음
  4. 대출을 받은 고객들이 원리금을 갚으면, 투자자들에게 이익이 배당됨

즉, ABS는 기업이 보유한 미래 현금흐름을 담보로 증권을 발행하고, 투자자들이 이를 매입하는 구조입니다.


3. 기업이 ABS를 발행하는 이유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ABS를 발행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입니다.

1) 빠른 자금 조달 가능

  • 기업이 ABS를 발행하면, 미래에 받을 돈을 당장 현금으로 확보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카드사가 고객들에게 빌려준 돈을 회수하려면 시간이 걸리지만,
    ABS를 발행하면 바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음.

2) 부채 비율 관리에 유리

  • ABS는 대출과 다르게 기업의 부채로 기록되지 않음.
  • 즉,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음.
  • 은행들도 BIS 자기자본비율 관리를 위해 ABS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음.

3) 이자비용 절감 효과

  • 일반 대출을 받으면 높은 금리를 내야 하지만,
    ABS를 활용하면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음.

즉, ABS는 기업이 부채 부담 없이 빠르게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4. ABS는 어디에서 활용될까?

ABS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1) 금융기관 (은행, 카드사, 캐피탈사)

  • 카드사: 신용카드 대출채권을 ABS로 발행
  • 자동차 금융사: 자동차 할부금융 채권을 ABS로 유동화

2) 대기업 및 일반 기업

  • 제조업체: 매출채권(외상거래)을 기반으로 ABS 발행
  • 부동산 개발사: 부동산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ABS 발행

3) 정부 및 공공기관

  • 공공기관: 공공시설 운영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유동화하여 ABS 발행
  • 예) 도로 통행료, 공항 사용료 등을 기반으로 한 유동화 증권

즉, ABS는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5. 결론: 자산유동화증권(ABS)은 기업의 자금 조달을 돕는 중요한 금융 상품

ABS는 미래에 받을 돈(채권)을 담보로 발행하는 증권입니다.
기업은 ABS를 통해 빠르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부채 부담 없이 자산을 유동화할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 대기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ABS를 활용합니다.

자산유동화증권(ABS)은 기업의 유동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중요한 금융 상품입니다.
투자를 고려할 때는 ABS의 구조와 원리, 그리고 해당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