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공부/금융 & 경제

소득공제 기본공제 대상자 요건, 연말정산 전에 꼭 확인하세요!

baekyou 2025. 4. 1.
반응형

연말정산을 준비하면서 가장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부양가족을 기본공제 대상으로 넣을 수 있을까?" 하는 문제입니다.
배우자, 부모님, 자녀까지 다 넣을 수 있는 것 같지만, 사실 연령이나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만 기본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득공제 기본공제 대상자의 요건을 쉽게 설명해드릴 테니, 연말정산 전에 꼭 체크하세요!


기본공제 대상자란?

기본공제 대상자는 내가 부양하는 가족 중에서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즉, 가족이긴 해도 무조건 공제받을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점!

✔ 기본공제 대상자가 되려면 아래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소득 요건: 연 소득 100만 원(근로소득만 있다면 총급여 500만 원) 이하
  2. 연령 요건: 나이에 따라 기준이 다름

위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만 연간 1인당 150만 원의 기본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요건: 연 소득 100만 원 이하(근로소득만 있다면 500만 원)

소득 요건이 가장 중요합니다.
연 소득 100만 원 이하여야만 기본공제 대상자로 인정됩니다.
✔ 단,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총급여가 5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부모님이 연금 소득만 받는 경우

  • 연금소득이 100만 원을 초과하면 기본공제를 받을 수 없음

부모님이 알바를 하시는 경우

  • 급여가 연 500만 원을 넘으면 기본공제를 받을 수 없음

자녀가 대학생인데 아르바이트를 한다면?

  • 연봉 500만 원 이하라면 기본공제 가능

즉, 부양가족이 소득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꼭 확인해봐야 한다는 것!


연령 요건: 나이에 따라 다름

연령 기준도 중요합니다.
배우자 → 나이 제한 없음 (소득 요건만 충족하면 됨)
부모님 → 만 60세 이상(출생연도 기준으로 확인)
자녀 → 만 20세 이하
형제·자매 → 만 60세 이상 또는 만 20세 이하

즉, 부모님이 소득 요건을 충족하더라도 만 60세 미만이면 기본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62세인 아버지가 연 소득 90만 원이라면? → 기본공제 가능
58세인 어머니가 소득이 없더라도? → 기본공제 불가능(연령 요건 미충족)
대학생인 자녀(22세)가 소득이 없다면? → 기본공제 불가능(연령 초과)

이처럼 소득과 연령 요건을 함께 따져야 기본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공제 대상자 쉽게 체크하는 방법

소득 요건(100만 원 이하, 근로소득만 있다면 500만 원 이하) 충족하는지 확인
연령 기준(부모님 60세 이상, 자녀 20세 이하) 확인
배우자는 연령 제한 없이 소득 요건만 충족하면 기본공제 가능
부양가족의 소득을 꼼꼼히 체크해서 놓치는 공제가 없도록 하기

연말정산 때 기본공제 하나만 잘 챙겨도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올해 연말정산을 앞두고 있다면, 내 가족이 기본공제 대상자에 해당하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반응형

댓글